마짱짱의 지식창고
MAC 주소 / IP 주소 본문
1. MAC 주소
Media Access Control 의 줄임말로 2계층에서 통신을 위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 할당된 고유 식별자 입니다.
제조업체에서 장비를 출하될 때 결정됩니다.
48비트로 이루어져있고 앞의 24비트는 제조사, 뒤에 24비트는 고유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의도적으로 중복되게 출하할 경우가 있는데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존재하지않으면 상관없습니다.
NIC 는 자신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고 전기 신호가 들어오면 2계층에서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내용 을 구분한 후 도착지 MAC주소를 확인합니다. 만약 다를경우 패킷을 폐기합니다.
여기서 폐기할때 NIC가 자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OS나 Application 에서 처리가 되며 시스템부하가 일어난다.
본인의 MAC주소로 제조사 회사가 궁금하다면
해당 주소에서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IP Address
3계층 논리주소를 IP 라고 합니다.
특징으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고
흔히 사용하느 IPv4 32비트 주소기준으로 네트워크주소와 호스트주소로 나뉘어 진다.
네트워크 주소는 호스트들이 속해있는 주소로 생각하면 되고
호스트주소는 단말기를 구분짓는 주소로 생각하면된다.
(쉽게 생각해서 101동이라는 건물이 네트워크 주소이고 그안에 101호,102호,201호 가 호스트주소라고 보면된다.)
호스트 IP 네트워크 개수에 따라 네트워크 크기를 다르게 할당하는 클래스 개념이 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보통 A,B,C로 나뉘어지고 D,E 클래스는 특별한 경우에만 사용합니다.
A class 1~127.0.0.0 (127.0.0.0 은 보통 로컬호스트로 사용한다.)
B class 128~191.0.0.0
C class 192~223.0.0.0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VLAN 개념 (0) | 2021.03.30 |
---|---|
스위치의 동작방식 3가지 : 플러딩, 어드레스러닝, 포워딩/필터링 (0) | 2021.03.30 |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0) | 2021.03.25 |
LoadBalance 란? (0) | 2020.09.16 |
Proxy 란? (HAProxy) (0) | 2020.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