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2/01 (3)
마짱짱의 지식창고

0. 들어기기전 Terraform을 공부하는 도중 Github에 올리니 계속해서 보안알람이 울려 다른 저장소를 찾다가 GCP의 기능인 Cloud Source Repositories를 이용하여 보관하기로 결정했다. * 글쓴이는 Cloud SDK 설치 후 인증까지 했기에 보안 관련해서는 문제 없이 진행 혹시 보안관련해서 denied 떴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답변 드리도록 노력하겠습니다. 1. Cloud Source Repositories 생성 1.1 https://source.cloud.google.com/ 접속 및 로그인 1.2 우측상단 [저장소 추가] 클릭 1.3 Local 환경을 이용 할 것이기에 [새 저장소 만들기] 클릭 * Google Source Repositories는 Github, Bitbuc..

0. 들어가기 전 내가 느끼기에 세상은 하나하나 직접 확인하고 작업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자동화가 당연시되고 필요로 되는 그리고 그걸 만들 줄 아는 사람을 필요로 한다. 그렇기에 Infra 쪽을 공부하고 있는 나에겐 Code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 느껴지고 Code를 많이 다루는 사람들은 Git라는 것을 많이 사용한다고 하더라.. 그래서 IaC(Infrasturcutre as Code) 중 하나인 Terraform 을 연습하려 하고 해당 코드를 관리하기 위해 Git이라는 것을 사용해 보려 하니 이게 뭔소리고.. 했다. 그래서 내가 직접 정리를 해야만 잘 다룰 줄 알기위해 해당 포스팅을 시작한다. ( Uubuntu 18.04 환경에서 진행 ) 1. Git 이란? Git 은 간단히 말해 버전관리 시스템 ..

0. 시작하기 전 궁금했다. GCP의 CDN기능을 타사 Storage와 사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1. Network Endpoint Group(NEG) Docs : https://cloud.google.com/load-balancing/docs/negs 해당 서비스를 이용해서 외부에 있는 Storage Endpoint 를 잡아준다. 그렇다면 작업을 어떻게 해야하지 2. Azure Blob 준비 난 사실 Azure Blob 에 대해 잘 모른다. 다만 저장소 역할을 한다는 것은 알고 있기에 테스트 해봤다. ( Docs : https://azure.microsoft.com/ko-kr/services/storage/blobs/#overview ) 해당 작업을 하기에 앞서 미리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