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54)
마짱짱의 지식창고
0. 들어가기 전 가상머신확장집합(VMSS)은 VM을 미리 프로비전할 필요 업싱 부하 분산된 동일한 설정의 VM그룹을 만들어 어플리케이션의 고가용성을 제공합니다. 중앙에서 자동/수동 크기 조정을 포함하여 VM 집합을 관리, 구성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VMSS배포의 주요이점 4가지 1. 개별 VM을 관리하는 이전 방식과 비교해 확장 집합의 VM은 하나의 단위로 관리됩니다. 2. 메트릭(성능 지표)을 미리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동 크기 조정을 사용해 수평 확장/축소 를 수행합니다. 3. VMSS를 배포하는 동안 가상 네트워크와 Azure 부하 분산 장치를 한번에 배포할 수 있습니다. 4. VMSS에서 VM 인스턴스 증감에 따라 부하 분산 장치 구성이나 스크립트 확장, DevOps 연계 등의 작업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Y2oBz/btqTvR4ixaB/Bd3RXWBhqaLs5pCwfhxK7K/img.png)
0. 들어가기 전 부하 분산 기능은 네트워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부하 분산 장치느 보통 OSI 4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동작하는 L4 부하 분산을 제공하며, 어플리케이션 게이트웨이는 L7 부하 분산을 제공합니다. L4 부하분산은 네트워크 프로토콜(TCP/UDP)계층에서 트래픽 관리를 제공합니다. -> IP주소, 프로토콜, 라운드로빈 등을 사용하고 최소 연결 및 가장 빠른 응답 시간을 보이는 서버를 계산해 트래픽 전달 L7 부하분산은 HTTP/HTTPS 헤더와 메시지의 내용, URL 유형, 쿠키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바탕으로 트래픽의 라우팅을 결정합니다. 2020/09/16 - [Network] - LoadBalance 란? 2020/09/..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2cNTi/btqTwXoSNUQ/jnQuZwDt77w8z5KxkgPDZ1/img.png)
0. 서론 주요기능 10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1. 스토리지 풀(Storage Pool) 기존의 파일 시스템은 물리적인 스토리지에 볼륨을 생성하거나 RAID 를 구축하기 위해 별도의 볼륨 매니저를 사용하였으며, 기존의 파일 시스템의 볼륨 구성 변경(볼륨 확장, 디스크 추가, 레이아웃 변경) 시 서비스의 다운 타임이 발생합니다. 다운 타임을 줄이기 위해 ZFS 에선 스토리지 풀 개념을 사용합니다. 볼륨 확장 혹은 디스크 추가 시 스토리지 풀에 결합하며, 결합 직후 즉시 용량이 반영되어 사용이 가능합니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소 역할을 수행하며, 모든 파일 시스템이 스토리지 풀로 구성된 스토리지에 데이터 저장이 가능합니다.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성한 스토리지 풀은 실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ZNPjZ/btqToyjUntk/myEEpKrRl4vQqPImmIvPAk/img.png)
1. ZFS 역사 및 개념(ZFS 개념) ZFS 란 ZettaByte File System 의 줄임말로, 기존의 유닉스(Unix) 파일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하여 탄생한 파일 시스템 입니다. Matthew Ahrens 와 Jeff Bonwick 이 2001 년에 만들었습니다. ZFS 는 SUN Microsystems 의 OpenSolaris 를 위한 차세대 파일 시스템으로 설계되었습니다. 그 후에 2008 년 ZFS 는 FreeBSD 로 포팅되었습니다. 현존하는 유일한 128 비트 파일시스템이며, 기존의 32~64 비트 파일 시스템의 160 억배에 이르는 방대한 볼륨 크기를 가능하게 합니다. 64 비트 파일 시스템인 XFS 와 비교하는 것이 의미 없을 정도로 성능을 무한대로 확장한 스토리지이며, NTFS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1ceGz/btqTlFpPg9F/pbKunXe0t9tfiHOa4N9Rb1/img.png)
가용성이란 ? 가용성(可用性, Availability)이란 서버와 네트워크, 프로그램 등의 정보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정도를 말한다. 가동률과 비슷한 의미이다. 가용성을 수식으로 표현할 경우, 가용성(Availability)이란 정상적인 사용 시간(Uptime)을 전체 사용 시간(Uptime+Downtime)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이 값이 높을수록 "가용성이 높다"고 표현한다. 가용성이 높은 것을 고가용성(HA, High Availability)이라고 한다. - 위키피디아 Azure 는 다운타임을 최소화시켜 가용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Azure 가상머신의 가용성이 영향받는 3가지 다운타임 시나리오 1. 계획되지 않은 하드웨어 유지관리 -> Azure 인프라에서 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5kTr/btqTxBTfLW5/SkGBuCPog4fkgzkSGMkAJK/img.png)
가상머신의 크기조정이란? 현대 배포된 가상머신의 CPU, 메모리, 디스크성능, 데이터 디스크의 수, 임시 디스크 용량 등의 규격을 더 높은 규격이나 더 낮은 규격으로 변경하는 작업입니다. (Scale-Up, Scale-Down) 가상 머신의 크기를 조정하는 순서는 3단계로 따릅니다. 1. 가상 머신의 할당해제(Guest OS 종료X) -> 가상 머신을 실행 중일 때 크기를 조정하면 현재 호스트 클러스트가 지원하는 시리즈로만 변경 할 수 있습니다. 할당을 해제해야 현재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옵션을 볼 수 있으며 크기 조정 프로세스가 새로운 호스트 클러스터로 마이그레이션 합니다. 2. 가상 머신의 크기 조정 ->현재 가상 머신에서 가속화된 네트워킹이나 프리미엄 스토리지를 사용 중이라면 크기 조정의 호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