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loud (56)
마짱짱의 지식창고
도커 볼륨(Docker Volume) Bind Mount 초기 도커부터 사용했던방식으로 호스트의 특정 디렉터리와 컨테이너의 디렉터리를 연결하는 방식 쉽게사용하지만 도커에 의해 관리되지 않으므로 기록하지 않으면 관리하기 어렵다. 성능은 뛰어나다, 허나 호스트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추천하지 않는다. 주로 사용하는 사례 호스트와 컨테이너가 /etc/resolv.conf와 같은 설정파일을 공유할 때 호스트와 컨테이너가 개발환경 사이에서 소스코드나 빌드 아티팩트를 공유할 때 호스트의 파일 또는 디렉터리 구조가 컨테이너의 bind Mount와 일치하도록 보장된 경우 [student@docker ~]$ mkdir contents [student@docker ~]$ echo "h..
docker 명령어(예시와 함께) 이미지 검색 docker search hello-world - hello-world 를 검색 이미지 다운로드 docker pull httpd:alpine - httpd 이미지에 latest 태그인 것을 다운 이미지 목록 docker images = docker image ls 와 동일 이미지 삭제 docker image rm httpd:alpine - alpine 태그인 httpd 이미지 삭제 - 사용 중이면 삭제X 이미지 상세정보 docker image inspect httpd:alpine - alpine 태그인 httpd 이미지 상세정보 보기 - container 이름 검색시 container 정보가 상세하게 나온다. 컨테이너 목록 docker ps - 현재 실행중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TvqNp/btqFBXWT2cv/E1X39EjbgAGcjFYmubstKK/img.png)
CentOS 7 환경입니다. Docker 설치 1. yum 최신화 sudo yum -y update sudo yum -y install yum-utils 2. yum 저장소 설정 sudo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3. Docker-ce 설치 sudo yum install -y docker-ce docker-ce-cli containerd.io 4. 서비스 실행 및 활성화 sudo systemctl start docker sudo systemctl enable docker 5. docker 그룹 지정 sudo usermod -aG docker $USER * 사용자가 sudo명령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6Q98/btqFCpS8DAY/hVFyTmSM904mu7O0g8U470/img.png)
컨테이너 가상화 란? 호스트 운영체제에서 논리적인 거역을 만들어 서로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기술 이 논리적인 구역을 컨테이너라 하며, 여기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과 필요한 라이브러리 추가할 수있다. 주로 커널 기능을 사용 리눅스 컨테이너 란? 컨테이너 가상화 기술을 사용 애플리케이션이나 이에 필요한 라이브러리 및 설정파일 등이 포함 가상머신에 비교하면 계층이 없고 커널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떄문에 가볍고 실행속도가 빠르다. Cgroup Control Group 의 약자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를 그룹화 하여 관리하는 기능 리소스(CPU, 메모리, 디스크입출력 등)의 사용을 제한 호스트의 리소스를 공유하여 사용 같은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서로 다른 컨테이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막아준다. Names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fjzWj/btqFgypII2o/zx8a5hscdCctDr6pBJ6NsK/img.png)
0. 0penStack 오픈스택? -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플랫폼 - IaaS 클라우드 서비스를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1. 오픈스택 버전 1) Compute (프로젝트: NOVA) 인스턴스(가상머신,서버)의 생성, 중지 스케쥴링 등 인스턴스의 라이프 사키을 을 관리 2) Networking (프로젝트: Neutron) 인스턴스의 네트워크를 제공 3) Block Storage (프로젝트: Cinder) 인스턴스의 영구 저장장치인 블록 장지를 제공 4) Identity (프로젝트: Keystone) 모든 컴포넌트의 인증을 담당, LDAP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중앙 디렉토리 기능 5)Image (프로젝트: Glance)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한 운영체제 디스크 이미지 제공 6)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JVmf/btqE5eFqsjP/mt3kV8IbU2to9TzrhktJrk/img.png)
* Ubuntu 의 KVM 환경을 이용했습니다. * CentOS 7 환경입니다. * 현재 Ununtu 에서 만든 VM은 실제 PC라고 생각을 하고 작업을 해야합니다. * Engine 의 구성은 Standalone Manager 방식을 택 했습니다. * IP 구성은 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작성하였습니다. * DNS 구성을 하지않고 로컬네임서버(/etc/hosts)를 이용했습니다. 모든 CPU는 반드시 왼쪽 Configuration 체크한다. 또는 KVM 선택하기 위 그림처럼 세팅을 해보자. 0. 가상 머신 디스크 만들기 (Test 할 VM Storage가 부족해서.. 사용했다.. 본인 Storage가 넉넉하면 할 필요 없다.) 해당 방법은 가상머신 Storage 가 부족할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studen..